
■ 제도 개요
- 대상: 아파트 제외, 오직 빌라·연립·다세대·오피스텔 등 비아파트
- 임대의무 기간: 6년 (이전엔 4년)
- 등록일: 2025년 6월 4일부터 시행
■ 핵심 혜택
- 1가구 1주택 특례 적용
- 1주택자가 비아파트를 6년 단기임대로 등록하면, 추가 주택 수로 산정되지 않아 1주택으로 간주
- 세제 혜택
-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
- 양도소득세·법인세 중과 배제
- 수도권 기준:
- 건설형(신축) 공시가 ≤ 6억
- 매입형 공시가 ≤ 4억
- 비수도권: 건설형 ≤ 6억, 매입형 ≤ 2억
- 임대의무 기간 인정
- 단기→장기 임대로 전환할 경우, 기존 최대 6년 기간을 장기임대 의무로 인정
- 단기→장기 임대로 전환할 경우, 기존 최대 6년 기간을 장기임대 의무로 인정
■ 임차인 보호 및 투명성 강화
- 임대보증 가입 기준 개선
- HUG(주택도시보증공사) 인증 감정가 도입
- 공시가격 적용 비율 조정(직전 150% → 145%, 140%, 125% 등)
- 원상복구 비용 분쟁 방지 제도 도입
- 입·퇴거 시 공동 확인, 실비·감가상각 기준 적용
■ 제도 배경 및 효과
- 배경
- 2022~2024년 비아파트 인허가·준공 실적이 큰 폭 감소
- 빌라ㆍ오피스텔 시장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에서 도입
- 과거 단기임대 사례와 비교
- 2017년 문재인 정부 도입 단기임대는 2020년 ‘7·10 대책’으로 폐지됨 (4년 의무, 아파트 포함)
- 당시 다주택자의 세금 회피 및 시장 불안 유발 논란이 제기됨
- 이번 제도 변경점
- 대상에서 아파트 제외
- 의무 기간 4 → 6년으로 연장
- 투명성 제고 및 임대인/임차인 상호 보호 장치 마련
요약 찬반 포인트
장점 | 단점 및 불확실성 |
비아파트 공급 증가 효과 기대 | 공급 위축 우려 존재 |
임대인에게 실질적 세제 혜택 제공 | 아파트 제외로 시장 영향 제한적 |
임차인 보호 강화 및 분쟁 예방 | 정책 신뢰도 낮아 수요 반응 미지수 |
'경제_부동산_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I 에이전트 경쟁은 앞으로도 계속된다. (0) | 2025.06.09 |
---|---|
오리온·삼양, 내수 부진에 외면받는 식품업계…수출이 해법으로 (1) | 2025.06.09 |